본문 바로가기
생활

대한민국 거주 외국인에게 선거권(공직선거법)과 투표권(주민투표법)을 인정하는 근거 조항들, 선거권과 투표권의 차이

by 개두리 2021. 12. 2.
반응형

우리나라에 거주하는 모든 외국인에게 선거권과 투표권을 인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아무튼  외국인에게 선거권과 투표권을 부여하는 법률 조항을 정리해봤습니다.  

 

우선, 공직선거법입니다.  

공직선거법 제15조에서는 '18세 이상' & '영주권 취득 후 3년 경과' & '외국인등록대장에 등재'된 외국인에게 해당 지방의회의원 및 지자체 장(예를 들면, 서울시장)의 선거권을 인정하고 있음. 즉 대선(대통령 선거)의 선거권은 없음

 
< 참고조문 >

공직선거법 제15조(선거권) 제2항
18세 이상으로서 제37조 제1항에 따른 선거인명부작성기준일 현재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은 그 구역에서 선거하는 지방자치단체의 의회의원 및 장의 선거권이 있다.  

동항 제3호
출입국관리법 제10조에 따른 영주의 체류자격 취득일 후 3년이 경과한 외국인으로서 같은 법 제34조에 따라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외국인등록대장에 올라 있는 사람

    

 

그리고 주민투표법입니다.  

주민투표법 제5조에서는 우리나라에 거주자격을 갖춘 외국인에게 투표권을 인정하고 있음 
  

< 참고조문 >

주민투표법 제5조(주민투표권) 제1항
19세 이상의 주민 중 제6조 제1항에 따른 투표인명부 작성기준일 현재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에게는 주민투표권이 있다.

동조 제2호
출입국관리 관계 법령에 따라 대한민국에 계속 거주할 수 있는 자격(체류자격변경허가 또는 체규기간연장허가를 통하여 계속 거주할 수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갖춘 외국인으로서 지방자치단체의 조례로 정한 사람

 




< 용어정의 >


선거권(選擧權, Right to Vote in an election to select a representative): 대표자(대통령, 국회의원, 지방의원 및 지자체 장)를 선출하는 선거에서 투표할 수 있는 권리. 즉, 투표를 통해 대표자를 선출할 수 있는 권리


투표권(投標權, Right to Vote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투표를 통해 의사결정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권리


시민권(市民權, Citizenship): 일반 국민이나 주민이 누리고 가지는 권리, 대한민국 국적자


영주권(永住權, Right to Permanent Residence): 일정한 자격을 갖춘 외국인이 해당 국가에 영주할 수 있는 권리, 일종의 장기 체류비자


공직선거법(公織選擧法, 일명 공선법): 이 법률은 대통령 선거, 국회의원 선거, 그리고 지방의회의원 및 자자체 장의 선거에 적용하기 위해 만든 법으로서, 선거권과 피선거권, 선거구, 선거기간, 후보자, 선거운동, 선거비용, 투표, 개표, 재선거와 보궐선서, 재외선거 등에 관해 규율


주민투표법(主民投標法): 지자체의 주요결정사항에 대한 주민의 직접참여를 보장하기 위해 제정된 법(동법 제2조의 목적)으로서 주민투표의 대상 및 절차, 주민투표에 관한 운동, 주민투표의 효력 등에 관해 규율

 

  

< 공직선거법 및 주민투표법 원문 > 

법제처 공직선거법
https://www.law.go.kr/LSW/lsSc.do?dt=20201211&subMenuId=15&menuId=1&query=%EA%B3%B5%EC%A7%81%EC%84%A0%EA%B1%B0%EB%B2%95#undefined



법제처 주민투표법

https://www.law.go.kr/LSW/lsSc.do?section=&menuId=1&subMenuId=15&tabMenuId=81&eventGubun=060101&query=%EC%A3%BC%EB%AF%BC%ED%88%AC%ED%91%9C%EB%B2%95#undefined




< 참고: 선거권 vs. 투표권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