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81년까지 삼재 계산 방법, 三災 計算方法 들삼재, 눌삼재, 날삼재, 평삼재, 복삼재, 악삼재
※ 늘 이 글이 마지막이라고 생각하고 작성합니다. 부족한 글이지만 꼭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제 주변에는, 삼재를 믿지 않는 분들도 계시고 삼재를 믿지만 사람마다 다르게 나타난다고 하시는 분도 계시고 삼재를 철석같이 믿는 분들도 계십니다. 그런데 나이가 드니 주변에 이를 믿는 분들이 많아지는 듯합니다. 저는 상황에 따라 다른데요, 주변분들을 보면 이게 정말 중요한 분들도 있다는 생각이 강하게 들 때가 있기도 합니다. 아무튼, 이에 대해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계실 수도 있어 이 글에서 삼재가 무엇인지를 간단하게 설명해드리고, 이를 계산하는 방법도 정리해 드겠습니다 우선, 삼재(三災, Samjae, Three years of misfortune)는 사전상('우리말 샘')으로 '사람이 태어난 해를 십이지(十二..
2022. 6. 6.
회계 기초 - 상법상 회사 종류별 재무제표 작성 의무, 기업실체별 재무제표 작성 구분
※ 늘 이 글이 마지막이라고 생각하고 작성합니다. 부족한 글이지만 꼭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직전 글에서 말씀드린 아래 표를 간단하게 설명드리겠습니다. 아래 표를 보시면 바로 아시겠지만, 상법상 모든 회사들이 재무제표에 포함되는 모든 장표들(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자본변동표, 현금흐릅표)을 작성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규모가 작거나 외부 정보이용자(구체적으로 투자자)가 없다면 굳이 그럴 필요가 없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지금부터 아래의 표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드려보겠습니다. 참고로 설명 순서는 ③, ②, ①번의 순입니다. [ 참고 1 ] 기업실체별 재무제표 작성 여부 구분 장표 구분 ① 상법상 합명회사, 합자회사 ② 상법상 유한책임회사, 유한회사, 외감 대상이 아닌 주식회사 ③ 외부감..
2022. 6.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