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561

민법상 유언장 작성 방법 우선, 이 글은 학습(참고) 목적으로 작성된 것입니다. 그러니 구체적인 법률 규정이나 사안에 대한 해석˙적용 등은 반드시 법률전문가의 도움(조력)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유언장은 유언의 내용을 적은 문서입니다. 누구나 언젠가는 작성할 문서이지요. 그런데 유언은 만 17세에 달해야만 할 수 있고(민법 제1061조), 또 민법에서 정한 방식대로 하지 않으면 효력이 발생하지 않습니다(민법 제1060조). 그래서 이하에서는 '민법에서 정한 다섯 가지 유언의 방식들이 무엇인지'와 '이들에 관한 주의사항들'을 간단하게 설명해드립니다. 참고하시고요, 실제 상황에 적용하실 때에는 반드시 법률전문가의 조력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1. 자필증서에 의한 유언(민법 제1066조) 유언자가 .. 2021. 12. 25.
2017-2021 가계부채 통계 관련 그래프들 Some graphs related to household debt, 가구별 & 연령대별 평균 가계 부채 자산 보유 현황 가계부채와 관련된 직접 만든 몇 가지 그래프들을 공유해드립니다. Data Source 등은 이미지 아래를 참고하세요. 우선 아래 그래프는 우리나라 전체 가구의 평균 가계부채(신용)과 부채 보유 가구의 가계부채 추세입니다. 원 안의 숫자는 전년대비 증감률이며, CAGR(연평균성장률)은 2017~2021년 동안의 가계부채 성장률을 의미합니다. 그러니까 2021년 기준으로 우리나라 전체 가구 평균 가계부채 금액은 8,801만 원이며, 가계부채가 있는 가구만 평균한다면 1억 3837만 원인 것입니다. 참고로 전체 가구 평균 자산 보유현황도 살펴봤습니다. 시간이 없어서 레이블 겹침 현상은 수정하지 않았습니다. 이해 부탁드립니다. 간단하게 보시면 아시겠지만, 2021년 기준, 우리나라 전체 가구들의 평균 자산 보유.. 2021. 12. 22.
실무적인 구글 검색 팁 총정리 사실 구글링을 하실 때 검색하고자 하는 단어나 문장만 입력하고 바로 검색(Enter)하셔도 되는데요, 아래와 같은 방법들을 응용하시면 검색을 좀 더 수월하게 하실 수도 있답니다. 한번 참고해보세요. 검색 시간을 좀 줄이셔야죠. : ) 참고로 아래의 배경색이 들어간 글자는 모두 구글 검색창에 입력하는 기준으로 작성한 예시들입니다. 1. 보다 정확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더블 쿼테이션 마크(" ")를 활용 검색 키워드가 한 개인 경우: "주택연금" 검색 키워드가 두 개인 경우: "주택연금" + "가입기준" 특정 단어를 제외할 경우: "주택연금" - "중도해지" "" 없이 검색해도 됩니다만, 결과 값의 정확도가 조금 다릅니다. 2. 검색어 응용 여러 단어 중 하나라도 들어간 것을 검색할 경우: 메이웨더 or.. 2021. 12. 21.
최신 디지털 트렌드 관련 용어 모음 제가 업무적으로 필요해서 최신 디지털 트렌드와 관련된 용어들을 간단하게 리스팅해봤습니다. 사전이나 관련 책 등을 참고해 일반인들이 가장 이해하기 쉽게 정리해봤습니다. 그리고 계속 추가 중입니다. 우선 부담 없는 용어들부터 시작해보겠습니다. 4차 산업혁명(4IR, 4th Industrial Revolution): 정보통신기술(ICT)의 융합으로 이루어지어 차세대 산업혁명, 이의 주요 내용은 ①빅데이터, ②AI, ③로봇공학, ④IoT, ⑤무인 운송수단, ⑥3D 인쇄, ⑦나노기술과 같은 7대 분야에서의 혁신 Normal(노멀): 표준 New Normal(뉴노멀): 새로운 시대에 맞는 새로운 표준(또는 기준) 언택트(Untact): 비대면의 의미, 이를 '디지털 컨택트(Digital Contact)'와 동의어로.. 2021. 12. 20.
728x90
반응형